한번 소개된..
페이지 정보
작성자 로보맨 댓글 0건 조회 6,826회 작성일 09-07-27 14:53본문
세이코- 엡손은 일본의 미세기술을 이끌어가는 선두주자의 한 명이다. 나노기술을 연구하는 곳은 많고 자그마한 제품을 출시하는 기업은 많지만 제품개발시 이만큼 미디어의 주목을 받는 업체는 드물다. 블루투스로 제어되는 초소형 로봇에서 부터 이제는 세계 최소형의 헬리콥터이다. 이름은 uFR 이번 19일
부터 23일까지 도쿄 빅사이트에서 열리는 2003 International Robot Exhibition에 출품된다.
세이코엡손의 이러한 행보는 회사내의 마이크로메카트로닉스 기술을 축적하고 마이크로로봇과 콤포넌트 기술의 적용의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진행된다. 기술의 가장 큰 난제는 모터와 전기신호를 제어하는 컨트롤 유닛의 소형화와 무게의 경량화에 있으며 uFR의 의미라고 하면 그간 개발된 기술의 적용이 2D(지상)에서 구현됐던 거라면 이 미소형 헬리콥터는 3D(공중)로 구현됐다라는 점일 것이다. 기술의 난이도는 2D->3D로 넘어갈때 훨씬 어렵다.
전시회를 통해서 관람객(수요자이기도 한)의 반응과 공간활용의 기능적인 측면을 검토할 것 같다. 지상에서 움직이는 것보다 관람객에게 위험할 수도 있는 제품의 기능적 이용을 테스트하는 것은 필요한 것 같다. [이 게시물은 로보맨님에 의해 2009-08-15 01:09:06 robo_갤러리에서 이동 됨] [이 게시물은 로보맨님에 의해 2009-08-19 01:11:25 robo_갤러리 2에서 이동 됨] [이 게시물은 로보맨님에 의해 2013-09-14 12:29:07 robo_갤러리에서 이동 됨] [이 게시물은 로보맨님에 의해 2013-09-15 12:26:45 갤러리에서 이동 됨]
부터 23일까지 도쿄 빅사이트에서 열리는 2003 International Robot Exhibition에 출품된다.
세이코엡손의 이러한 행보는 회사내의 마이크로메카트로닉스 기술을 축적하고 마이크로로봇과 콤포넌트 기술의 적용의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진행된다. 기술의 가장 큰 난제는 모터와 전기신호를 제어하는 컨트롤 유닛의 소형화와 무게의 경량화에 있으며 uFR의 의미라고 하면 그간 개발된 기술의 적용이 2D(지상)에서 구현됐던 거라면 이 미소형 헬리콥터는 3D(공중)로 구현됐다라는 점일 것이다. 기술의 난이도는 2D->3D로 넘어갈때 훨씬 어렵다.
전시회를 통해서 관람객(수요자이기도 한)의 반응과 공간활용의 기능적인 측면을 검토할 것 같다. 지상에서 움직이는 것보다 관람객에게 위험할 수도 있는 제품의 기능적 이용을 테스트하는 것은 필요한 것 같다. [이 게시물은 로보맨님에 의해 2009-08-15 01:09:06 robo_갤러리에서 이동 됨] [이 게시물은 로보맨님에 의해 2009-08-19 01:11:25 robo_갤러리 2에서 이동 됨] [이 게시물은 로보맨님에 의해 2013-09-14 12:29:07 robo_갤러리에서 이동 됨] [이 게시물은 로보맨님에 의해 2013-09-15 12:26:45 갤러리에서 이동 됨]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25-10-04 18:34:13 robo_갤러리에서 이동 됨]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25-10-13 20:30:00 로봇 기초 상식 에서 이동 됨]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