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D' 속도 느려짐, '쓰기 속도' 저하의 원인과 해결법! > 컴퓨터 고장수리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컴퓨터 고장수리

'SSD' 속도 느려짐, '쓰기 속도' 저하의 원인과 해결법!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2회 작성일 25-10-22 21:45

본문

SSD를 사용하시는데 속도가 느려져서 답답하시겠습니다. 특히 '쓰기 속도' 저하는 파일 복사나 프로그램 설치 시 컴퓨터 전반적인 성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어 매우 불편합니다. SSD는 본래 빠른 속도가 장점인 저장 장치인데, 속도가 느려진다는 것은 어딘가에 문제가 발생했다는 신호입니다.

SSD 속도 저하, 특히 '쓰기 속도' 저하의 주요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자세히 설명해 드립니다. 지금부터 차근차근 점검해 보시길 바랍니다.


'SSD' 속도 느려짐, '쓰기 속도' 저하의 원인과 해결법!

SSD(Solid State Drive)는 HDD(Hard Disk Drive)와 달리 물리적인 움직임 없이 데이터를 전기적으로 저장하므로, 본래 HDD보다 훨씬 빠르고 안정적인 속도를 제공합니다. SSD 속도 저하, 특히 쓰기 속도 저하 현상이 발생했다면 다음과 같은 원인들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1. TRIM 기능 비활성화 또는 미작동 (가장 중요한 원인!)

TRIM 기능은 SSD의 성능과 수명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기술입니다.

  • TRIM 기능이란?
    • 데이터를 삭제할 때, 운영체제가 SSD 컨트롤러에 '이 셀은 비어있으니 더 이상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고 미리 알려주는 기능입니다. TRIM이 작동하지 않으면 SSD는 데이터를 '덮어쓰는' 방식으로 작업하게 되어 쓰기 속도가 현저히 느려집니다.  
  • 진단:
    • 명령 프롬프트(관리자 권한)를 엽니다.
    • fsutil behavior query DisableDeleteNotify를 입력하고 Enter 키를 누릅니다.
    • 결과 값이 DisableDeleteNotify = 0으로 표시되면 TRIM 기능이 활성화된 것입니다. DisableDeleteNotify = 1이면 비활성화된 것입니다. 
  • 해결:
    • TRIM 활성화: fsutil behavior set DisableDeleteNotify 0 명령어를 입력하고 Enter 키를 누른 후 재부팅합니다. 
    • 수동 TRIM (최적화): Windows 키 + S를 눌러 '드라이브 조각 모음 및 최적화'를 검색하여 실행합니다. SSD를 선택하고 **[최적화]**를 클릭합니다. Windows 10/11은 이 작업을 주기적으로 자동 수행하지만, 문제가 있을 때는 수동으로 실행해 볼 수 있습니다.

2. SSD 용량 부족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

SSD의 전체 용량 중 사용 가능한 공간이 적을수록 쓰기 속도가 느려집니다.

  • 진단: '내 PC'에서 SSD 드라이브의 남은 용량을 확인합니다.
  • 해결:
    • SSD는 일반적으로 20~25% 이상의 여유 공간을 확보해야 최적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불필요한 파일, 프로그램, 대용량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다른 저장 장치(HDD 등)로 이동시켜 여유 공간을 충분히 확보합니다.
    • Windows의 '디스크 정리' 기능을 활용하여 임시 파일 등을 삭제합니다.

3. 펌웨어(Firmware) 문제 또는 구 버전 (중요!)

SSD의 펌웨어는 SSD의 두뇌 역할을 합니다. 펌웨어에 버그가 있거나 오래된 버전이라면 속도 저하를 포함한 다양한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진단: SSD 제조사(삼성, WD, 마이크론 등)의 공식 웹사이트나 전용 유틸리티 소프트웨어(예: 삼성 Magician)를 통해 현재 펌웨어 버전을 확인합니다.
  • 해결:
    • SSD 제조사의 공식 웹사이트에서 최신 펌웨어를 다운로드하여 업데이트합니다. 펌웨어 업데이트는 SSD의 안정성과 성능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펌웨어 업데이트는 백업 후 신중하게 진행해야 합니다.)

4. AHCI 모드 비활성화

AHCI(Advanced Host Controller Interface)는 SSD를 포함한 SATA 기반 저장 장치의 성능을 최적화하는 데 필수적인 모드입니다.

  • 진단:
    1. Windows 키 + R을 누른 후 msinfo32를 입력하여 '시스템 정보'를 엽니다.
    2. '구성 요소' -> '저장소' -> '컨트롤러'에서 SATA 컨트롤러가 'AHCI' 모드로 작동 중인지 확인합니다.
    3. 또는 BIOS/UEFI 설정에서 'SATA Configuration' 또는 'Storage Configuration' 항목을 찾아 'AHCI Mode'가 'Enabled'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 해결:
    • AHCI 모드 활성화: BIOS/UEFI 설정에서 SATA 모드를 AHCI로 변경합니다. (만약 OS 설치 후에 변경할 경우 Windows가 부팅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이 경우에는 레지스트리 수정 후 변경해야 합니다.)

5. 드라이버 문제 (칩셋 드라이버 등)

메인보드 칩셋 드라이버가 오래되었거나 SSD 컨트롤러 드라이버에 문제가 있다면 쓰기 속도 저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진단: '장치 관리자' (Windows 로고 키 + X > 장치 관리자)에서 'IDE ATA/ATAPI 컨트롤러' 항목에 노란색 느낌표나 빨간색 X 표시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 해결:
    • 메인보드 제조사의 공식 웹사이트에서 최신 칩셋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하여 업데이트합니다.
    • 경우에 따라 SSD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자체 드라이버를 설치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6. SSD 과열

SSD도 과도하게 온도가 높아지면 성능 저하(쓰로틀링)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진단: 'CrystalDiskInfo'와 같은 프로그램을 통해 SSD 온도를 모니터링합니다. NVMe SSD의 경우 특히 발열이 심할 수 있습니다.
  • 해결:
    • SSD 주변의 공기 흐름을 개선하거나, NVMe SSD의 경우 방열판을 장착하는 것을 고려해 봅니다.

SSD 속도 저하, 특히 쓰기 속도 저하는 여러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이 가이드에서 제시된 방법들을 단계별로 차분히 시도하여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하시길 바랍니다. 대부분의 경우 이러한 최적화 작업만으로도 SSD 성능을 다시 최적의 상태로 되돌릴 수 있습니다.

만약 이 모든 방법을 시도했음에도 속도 저하가 지속되거나, S.M.A.R.T. 상태가 '경고' 또는 '나쁨'으로 표시된다면, SSD 자체의 물리적 불량을 의심해야 합니다. 이 경우 중요한 데이터를 백업하고 SSD 교체를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회사소개 개인정보취급방침 서비스이용약관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 상단으로

작크와콩나무
대표:이강복 등록번호:129-30-34337 개인정보관리책임자:이경영

Copyright © https://roboman.co.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