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속도' 느려짐, '랜선' 문제일까 '공유기' 문제일까? > 컴퓨터 고장수리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컴퓨터 고장수리

'인터넷 속도' 느려짐, '랜선' 문제일까 '공유기' 문제일까?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3회 작성일 25-10-22 21:51

본문

PC의 '인터넷 속도'가 느려져서 답답하고 불편하시겠습니다. 스트리밍이 끊기거나 웹 페이지 로딩이 느려지면 업무 효율은 물론 여가 활동에도 큰 지장이 생기는데요. 이런 상황에서 "랜선 문제일까, 공유기 문제일까?"라고 질문하신 것은 아주 핵심적인 의심입니다. 실제로 인터넷 속도 저하의 원인 중 상당수가 랜선이나 공유기와 같은 네트워크 장치에서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인터넷 속도 느려짐 현상의 주요 원인을 분석하고, 특히 '랜선'과 '공유기'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할 수 있는 방법들을 단계별로 자세히 설명해 드립니다. 지금부터 차근차근 점검해 보시길 바랍니다.


'인터넷 속도' 느려짐, '랜선' 문제일까 '공유기' 문제일까?

인터넷 속도 저하 현상은 매우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의 회선 문제부터, 컴퓨터 자체의 네트워크 설정, 그리고 네트워크 장비(모뎀, 공유기, 랜선)의 문제까지 여러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다음은 주요 원인과 해결법입니다.

1.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 회선 점검

가장 먼저 우리 집으로 들어오는 인터넷 회선 자체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진단:
    • ISP 고객센터 문의: 사용 중인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SK, KT, LG 등) 고객센터에 전화하여 현재 서비스 지역의 네트워크 장애 유무를 확인합니다.
    • 스마트폰 테더링/다른 와이파이 연결 테스트: 가능하다면 스마트폰 테더링이나 다른 와이파이 네트워크에 PC를 연결하여 인터넷 속도를 테스트해 봅니다. 다른 네트워크에서는 정상 속도가 나온다면 ISP 회선 자체보다는 내부 장비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해결: ISP 회선 문제라면 고객센터에 A/S 접수를 합니다.

2. '랜선' 문제 진단 및 해결 (기가 인터넷 사용자 특히 주의!)

랜선(UTP 케이블)은 인터넷 신호를 전달하는 통로입니다. 이 통로가 제 기능을 못하면 속도 저하가 발생합니다.

  • 주요 원인:
    • 랜선 규격 미달: 기가 인터넷을 사용하려면 CAT5e 이상의 규격 랜선이 필수입니다. CAT5 이하의 구형 랜선을 사용하면 아무리 좋은 공유기를 써도 100Mbps 이상의 속도를 낼 수 없습니다. 
    • 랜선 손상: 랜선이 꺾이거나 밟히거나 문틈에 끼어 내부 선이 단선된 경우입니다. 특히 RJ45 커넥터(랜선 끝 부분의 플라스틱 단자) 부분이 파손되거나 접촉 불량일 수 있습니다.
    • 오래된 랜선: 장시간 사용으로 인해 노후화된 랜선은 신호 품질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 진단:
    1. 현재 랜선 규격 확인: 랜선 피복에 인쇄된 글씨를 확인하여 'CAT5e', 'CAT6', 'CAT7' 등으로 표시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기가 인터넷 환경에서 'CAT5'만 적혀 있다면 교체가 필요합니다.  
    2. 랜카드 속도 확인: Windows 키 + S를 눌러 '네트워크 상태'를 검색하여 엽니다. '이더넷' 항목에서 '속성'을 클릭한 후, 연결 속도(Link Speed)가 '1Gbps' 또는 '1000Mbps'로 표시되어야 기가 비트로 연결된 것입니다. 100Mbps로 표시된다면 랜선이나 랜카드, 공유기 중 하나에 기가 비트 연결을 방해하는 요소가 있는 것입니다. 
    3. 랜선 직결 테스트: 공유기를 거치지 않고 벽면 랜 포트 또는 모뎀에 PC를 직접 연결하여 속도를 측정해 봅니다. 이 경우 속도가 잘 나온다면 랜선보다는 공유기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해결:
    • 규격에 맞는 랜선으로 교체: 기가 인터넷 환경에서는 CAT6 이상의 랜선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 손상된 랜선 교체: 물리적으로 손상된 랜선이나 오래된 랜선은 모두 교체합니다.

3. '공유기' 문제 진단 및 해결

공유기는 여러 기기에 인터넷을 분배하는 역할을 합니다. 공유기에 문제가 생기면 모든 연결된 기기의 인터넷 속도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

  • 주요 원인:
    • 오래되거나 저사양 공유기: 기가 인터넷을 사용하는데 100Mbps까지만 지원하는 구형 공유기를 사용하거나, 프로세서 성능이 낮은 저사양 공유기는 기가 비트 속도를 감당하지 못해 병목 현상을 유발합니다.  
    • 과부하: 너무 많은 기기가 동시에 연결되어 있거나, 토렌트 등 네트워크 대역폭을 많이 사용하는 작업을 동시에 진행할 때 과부하가 걸립니다.
    • 펌웨어 오류: 공유기 펌웨어에 문제가 있거나 업데이트가 되지 않아 불안정할 수 있습니다.
    • Wi-Fi 간섭: 무선 인터넷(Wi-Fi)의 경우 주변의 다른 Wi-Fi 신호나 전자기기(전자레인지 등)와의 간섭으로 속도가 저하될 수 있습니다.
  • 진단:
    1. 공유기 사양 확인: 공유기 모델명으로 검색하여 기가 비트(1Gbps)를 지원하는지, 802.11ac(Wi-Fi 5) 또는 802.11ax(Wi-Fi 6)와 같은 최신 Wi-Fi 규격을 지원하는지 확인합니다.
    2. 공유기 바이패스 테스트: 공유기를 거치지 않고 PC를 모뎀에 직접 연결했을 때 속도가 정상이라면 공유기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3. 다른 기기로 테스트: 다른 스마트폰이나 노트북으로 Wi-Fi 연결 시에도 속도가 느린지 확인합니다.
  • 해결:
    • 공유기 재부팅: 공유기 전원 코드를 뺐다가 10초 후 다시 꽂아 재부팅합니다. 일시적인 오류는 이 방법으로 해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공유기 펌웨어 업데이트: 공유기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하여 펌웨어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합니다.
    • 공유기 교체: 기가 인터넷 환경에서는 **기가 비트를 지원하는 유무선 공유기(WAN, LAN 포트 모두 1Gbps 지원)**로 교체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 Wi-Fi 채널 변경: 공유기 관리자 페이지에서 Wi-Fi 채널을 수동으로 변경하여 주변 간섭을 줄여볼 수 있습니다.

4. PC 네트워크 설정 및 드라이버 문제

PC 자체의 랜카드(네트워크 어댑터) 설정이나 드라이버 문제로 인터넷 속도가 저하될 수도 있습니다.

  • 진단:
    • 랜카드 드라이버 확인: Windows 키 + X를 눌러 [장치 관리자]를 선택합니다. [네트워크 어댑터] 항목에 노란색 느낌표나 빨간색 X 표시가 없는지 확인합니다.
    • 랜카드 속성 확인: 장치 관리자에서 사용 중인 랜카드 속성에서 '고급' 탭을 선택한 후 'Speed & Duplex' 또는 '속도 및 이중' 항목의 값을 'Auto Negotiation'이 아닌 '1.0 Gbps Full Duplex'로 강제 설정해 볼 수 있습니다.
  • 해결:
    • 랜카드 드라이버 업데이트: 랜카드 제조사 웹사이트에서 최신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하여 업데이트합니다.
    • 네트워크 설정 초기화: Windows [검색창]에 '네트워크 설정 재설정'을 입력하여 실행하고, 네트워크를 초기화해 볼 수 있습니다.

인터넷 속도 느려짐 문제는 '랜선'과 '공유기' 문제 외에도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 가이드에서 제시된 방법들을 단계별로 차분히 시도하여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해 보시길 바랍니다.


회사소개 개인정보취급방침 서비스이용약관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 상단으로

작크와콩나무
대표:이강복 등록번호:129-30-34337 개인정보관리책임자:이경영

Copyright © https://roboman.co.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