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카드 온도' 높을 때, '게임 렉' 발생의 주요 원인! > 컴퓨터 고장수리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컴퓨터 고장수리

'그래픽카드 온도' 높을 때, '게임 렉' 발생의 주요 원인!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1회 작성일 25-10-22 21:58

본문

그래픽카드 온도가 높을 때 게임 렉이 발생하는 문제로 불편하시겠습니다. "그래픽카드 온도가 높을 때 게임 렉 발생의 주요 원인!"이라고 질문하신 것처럼, 이 둘은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습니다. 게임은 PC 하드웨어 중에서도 특히 그래픽카드(GPU)에 엄청난 부하를 주기 때문에, 발열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성능 저하, 즉 '렉' 현상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이 글에서는 그래픽카드 온도가 높을 때 게임 렉이 발생하는 이유를 분석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자세히 설명해 드립니다. 지금부터 차근차근 점검해 보시길 바랍니다.


'그래픽카드 온도' 높을 때, '게임 렉' 발생의 주요 원인!

그래픽카드(GPU)는 게임 플레이 시 3D 그래픽을 렌더링하고 처리하는 핵심 부품입니다. 고사양 게임을 플레이할 때 그래픽카드는 최대 성능으로 작동하며 엄청난 열을 발생시킵니다. 이 열이 제대로 식혀지지 않고 과도하게 온도가 높아지면 다음과 같은 원리로 게임 렉을 유발하게 됩니다.

  1. GPU 쓰로틀링(Throttling):
    • 그래픽카드 제조사들은 GPU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 온도 이상(일반적으로 80°C~90°C 이상)으로 온도가 올라가면 GPU 클럭 속도를 자동으로 낮추도록(성능을 제한하도록) 설정해 둡니다. 
    • 이것이 바로 'GPU 쓰로틀링'이며, GPU가 의도적으로 제 성능을 내지 못하게 되므로 게임 플레이 시 프레임 드랍, 끊김, 버벅거림(렉)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2. VRAM(비디오 메모리) 오류:
    • GPU뿐만 아니라 그래픽카드에 탑재된 VRAM(비디오 메모리)도 과열되면 오류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VRAM 오류는 게임 그래픽 깨짐(아티팩트), 화면 멈춤, 나아가 시스템 다운(블루스크린)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3. 시스템 불안정:
    • 그래픽카드의 과도한 발열은 PC 케이스 내부의 다른 부품(CPU, 메인보드 등)의 온도까지 상승시켜 전체적인 시스템 불안정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게임 렉의 간접적인 원인이 됩니다.
  4. 팬 소음: 온도가 높으면 쿨링 팬이 최대로 회전하여 소음이 심해지고, 이는 게임 집중을 방해합니다. 

1. 그래픽카드 온도 측정 및 확인 (필수!)

문제 해결 전, 현재 그래픽카드의 온도가 어느 정도인지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온도 모니터링 프로그램 사용: 'MSI Afterburner', 'HWMonitor', 'GPU-Z' 등과 같은 무료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GPU 온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합니다. 
  • 정상 온도 범위:
    • 아이들(Idle) 상태 (게임 안 할 때): 30°C ~ 50°C
    • 게임 플레이 중: 60°C ~ 80°C (일부 고성능 카드나 여름철에는 85°C까지 올라갈 수 있습니다.)
    • 주의: 90°C 이상으로 지속되면 위험 수준이며, 쓰로틀링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2. 그래픽카드 온도 관리 및 게임 렉 해결 방법

가. 그래픽카드 및 PC 내부 먼지 청소 (가장 중요하고 효과적!)

먼지 제거는 발열 관리의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 주의: PC 전원 차단 및 잔류 전원 방전 후 진행하십시오.
    1. 본체 덮개 열기: 십자드라이버를 사용하여 PC 케이스의 옆면 덮개를 엽니다.
    2. 그래픽카드 쿨러 청소: 
      • **압축 공기 캔(에어 스프레이)**을 사용하여 그래픽카드의 팬 날개와 히트싱크(방열판) 틈새에 쌓인 먼지를 집중적으로 불어냅니다. (팬이 과도하게 빠르게 돌면 베어링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팬 날개를 손으로 살짝 잡고 고정한 상태에서 먼지를 불어내는 것이 좋습니다.)
      • 그래픽카드 히트싱크와 백플레이트 사이에도 먼지가 많을 수 있으니 잘 제거합니다.
    3. 케이스 내부 전체 청소: CPU 쿨러, 케이스 팬, 파워 서플라이 내부 등 본체 내부 전체의 먼지를 함께 청소하여 공기 흐름을 개선합니다.
나. 통풍 환경 개선 및 케이스 관리
  • 케이스 팬 확인: 케이스에 흡기/배기 팬이 제대로 설치되어 작동하는지, 그리고 방향이 올바른지(흡기는 시원한 공기를 넣고, 배기는 뜨거운 공기를 빼는 방향) 확인합니다. 필요한 경우 케이스 팬을 추가 설치하여 공기 흐름을 개선합니다.
  • PC 주변 공간 확보: PC 케이스가 벽에 너무 붙어있거나 좁은 공간에 갇혀 있으면 뜨거운 공기가 제대로 배출되지 못합니다. PC 주변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여 공기 순환이 잘 되도록 합니다.
  • 개방형 케이스 테스트: (일시적으로) PC 케이스 덮개를 열고 게임을 플레이하며 온도를 측정해 보십시오. 온도가 확연히 낮아진다면 케이스 내부의 공기 흐름이나 케이스 팬 구성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 그래픽카드 드라이버 관리
  • 최신 드라이버 업데이트: 그래픽카드 제조사(NVIDIA, AMD)의 공식 웹사이트에서 **자신의 그래픽카드 모델명에 맞는 최신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하여 '클린 설치'**합니다. 최신 드라이버는 성능 최적화와 함께 발열 관리 개선 기능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 드라이버 설정 최적화: 'NVIDIA 제어판'이나 'AMD Radeon Software'에서 게임 성능과 관련된 옵션(예: 전원 관리 모드, 텍스처 필터링 등)을 조정해 볼 수 있습니다.
라. 게임 내 설정 최적화
  • 그래픽 옵션 낮추기: 게임 내 그래픽 옵션(해상도, 텍스처 품질, 그림자, 안티앨리어싱 등)을 한 단계씩 낮춰보면서 GPU 부하와 온도를 줄입니다.
  • 프레임 제한 (FPS Limit): 그래픽카드가 과도하게 높은 프레임을 뽑아내느라 풀로드 상태가 지속된다면, 게임 내에서 '프레임 제한' 옵션(예: 60FPS 또는 모니터 주사율에 맞춰)을 활성화하여 GPU 부하를 줄일 수 있습니다.
마. 서멀구리스 재도포 (전문가 영역)

쿨러 청소 후에도 온도가 여전히 높다면, 그래픽카드 GPU와 히트싱크 사이의 서멀구리스가 말랐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해결: 그래픽카드 쿨러를 분리하여 GPU 표면의 기존 서멀구리스를 닦아내고 새로운 서멀구리스를 재도포해야 합니다.
  • 주의: 이 작업은 매우 섬세하며 그래픽카드 분해가 필요합니다. 보증 기간이 남아있다면 AS 센터에 문의하고, 직접 할 경우 전문가의 도움을 받거나 충분한 지식을 갖춘 후 진행하십시오.
바. 그래픽카드 쿨러 또는 방열판 교체 (하드웨어 교체)

위 모든 방법을 시도했음에도 온도가 너무 높다면, 그래픽카드 쿨러 자체의 성능이 부족하거나 고장 났을 수 있습니다.

  • 해결: 더 고성능의 사제 그래픽카드 쿨러(일명 '트리플 팬 쿨러' 등)로 교체하거나, 일부 그래픽카드는 수랭 쿨러로 교체하여 온도를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습니다.

그래픽카드 온도가 높을 때 게임 렉이 발생하는 현상은 대부분 효과적인 발열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아서 발생합니다. 이 가이드에서 제시된 방법들을 단계별로 차분히 시도하여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고 컴퓨터를 다시 쾌적한 게임 환경으로 만들 수 있기를 바랍니다.


회사소개 개인정보취급방침 서비스이용약관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 상단으로

작크와콩나무
대표:이강복 등록번호:129-30-34337 개인정보관리책임자:이경영

Copyright © https://roboman.co.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