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버벅이다 결국 멈췄다면? 하드디스크 불량 진단법. > 컴퓨터 고장수리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컴퓨터 고장수리

컴퓨터 버벅이다 결국 멈췄다면? 하드디스크 불량 진단법.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4회 작성일 25-10-22 20:28

본문

컴퓨터를 사용하시다가 시스템이 버벅거리다 결국 멈춰버리는 현상은 정말 답답하고 초조할 것입니다. 중요한 작업이 진행 중이었다면 더욱 난감할 텐데요. 이러한 현상은 여러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지만, 컴퓨터의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드디스크' 또는 'SSD'와 같은 저장 장치의 불량이 가장 유력한 원인 중 하나로 손꼽힙니다.

저장 장치에 문제가 생기면 데이터를 읽고 쓰는 과정에서 지연이 발생하고, 결국 운영체제 전반에 걸쳐 성능 저하와 멈춤 현상을 유발하게 됩니다. 이 글에서는 컴퓨터가 버벅거리다 멈추는 현상이 발생했을 때, 저장 장치 불량 여부를 진단하는 방법을 자세히 설명해 드립니다. 침착하게 다음 단계들을 따라 문제의 원인을 파악해 보시길 바랍니다.


컴퓨터 버벅이다 결국 멈췄다면? 하드디스크 불량 진단법.

컴퓨터가 버벅거리다 멈추는 현상은 운영체제가 필요한 파일을 저장 장치에서 읽어오거나 저장하지 못할 때 주로 발생합니다. 이는 저장 장치의 물리적/논리적 손상으로 인해 데이터 접근 속도가 극도로 느려지거나 오류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1. 물리적인 증상 및 소리 확인 (주로 HDD 해당)

HDD(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사용 중이라면, 특유의 소리를 통해 불량 여부를 직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SSD는 물리적인 움직임이 없어 소리가 나지 않습니다.

  • 비정상적인 소음:
    • '딸깍딸깍' 또는 '긁히는' 소리: HDD의 헤드가 플래터(데이터 저장판)를 반복적으로 치거나 긁히는 소리로, 심각한 물리적 손상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 '윙윙' 또는 '삐' 하는 높은 음: 모터가 정상적으로 돌지 못하거나 비정상적인 회전음을 낼 수 있습니다.
    • 이러한 소리가 들린다면 HDD 고장이 거의 확실하며, 즉시 중요한 데이터 백업을 시도해야 합니다.

2. Windows 작업 관리자를 통한 디스크 사용률 확인

컴퓨터가 버벅거리기 시작할 때, 디스크 사용률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 방법: Ctrl + Shift + Esc 키를 눌러 '작업 관리자'를 엽니다. '프로세스' 탭에서 '디스크' 항목의 사용률을 확인합니다.
  • 비정상적인 높은 디스크 사용률: 아무것도 실행하고 있지 않는데도 디스크 사용률이 100%에 가깝게 지속적으로 유지되거나, 특정 프로그램을 실행하지 않았는데도 갑자기 치솟는다면 저장 장치의 병목 현상이나 오류가 원인일 수 있습니다. 이는 저장 장치가 데이터를 읽거나 쓰느라 과부하 상태에 있음을 의미합니다.

3. S.M.A.R.T. (스마트) 데이터 확인

S.M.A.R.T. (Self-Monitoring, Analysis, and Reporting Technology)는 저장 장치의 자체 진단 및 보고 기술로, 디스크의 현재 상태와 잠재적인 고장 가능성을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방법: 'CrystalDiskInfo'와 같은 무료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실행합니다.
  • 결과 분석:
    • 프로그램 실행 시 디스크의 '건강 상태(Health Status)'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좋음(Good)', '경고(Caution)', '나쁨(Bad)' 등으로 표시됩니다.
    • '경고' 상태가 나타난다면 디스크에 배드 섹터가 발생했거나 수명이 얼마 남지 않았음을 의미하므로 즉시 중요한 데이터를 백업하고 교체를 고려해야 합니다. 
    • '나쁨' 상태라면 언제든 완전히 고장 날 수 있으니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4. Windows 내장 도구를 이용한 디스크 검사

Windows 운영체제 자체에도 디스크 오류를 검사하고 복구할 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

  • chkdsk 명령:
    1. 'Windows 탐색기'에서 Windows가 설치된 드라이브(보통 C: 드라이브)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한 후 **[속성]**을 선택합니다.
    2. '도구' 탭에서 '오류 검사' 항목의 [검사] 버튼을 클릭합니다.
    3. Windows가 재시작 시 디스크 검사를 수행하도록 설정하고 컴퓨터를 다시 시작합니다. (명령 프롬프트에서 chkdsk C: /f /r 명령어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할 수도 있습니다.)
    • 이 검사는 파일 시스템 오류 및 불량 섹터를 확인하고 복구하려 시도합니다.
  • sfc /scannow 명령:
    1. 명령 프롬프트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합니다.
    2. sfc /scannow를 입력하고 Enter 키를 누릅니다.
    3. 이 명령은 손상되거나 누락된 Windows 시스템 파일을 검사하고 복구합니다. 저장 장치에 문제가 있을 경우 파일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함께 점검하는 것이 좋습니다.

5. Event Viewer (이벤트 뷰어) 확인

Windows 이벤트 로그를 통해 저장 장치와 관련된 오류 기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방법: 'Windows 검색창'에 '이벤트 뷰어'를 입력하여 실행합니다.
  • 로그 확인: 'Windows 로그' → '시스템'으로 이동한 후, 목록에서 'Error' 또는 'Critical' 수준의 이벤트 중 'Disk', 'NTFS', 'Source: atapi' 등과 관련된 오류 메시지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오류 코드를 통해 문제의 원인을 좁힐 수 있습니다.

6. 저장 장치 분리 후 테스트 (최종 진단)

위 모든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을 시도했음에도 문제가 지속된다면, 물리적인 테스트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외장 케이스/다른 PC에 연결:
    • 주의: PC 전원을 완전히 끄고 전원 케이블을 분리한 후 작업해야 합니다.
    • 문제가 의심되는 HDD/SSD를 분리하여 외장 저장 장치 케이스에 장착하거나, 다른 정상적인 컴퓨터에 보조 저장 장치로 연결하여 테스트합니다.
    • 데이터 읽기/쓰기 속도가 비정상적으로 느리거나, 데이터 복사가 실패한다면 해당 저장 장치의 불량을 확신할 수 있습니다.

하드디스크(HDD)와 SSD의 불량 징후 차이:

  • HDD 불량: 주로 물리적인 소음, 극도로 느려지는 속도, 특정 파일/폴더 접근 불가, 블루스크린 (0x00000024 NTFS_FILE_SYSTEM, 0x0000007B INACCESSIBLE_BOOT_DEVICE 등) 등의 증상이 뚜렷합니다.
  • SSD 불량: HDD처럼 소음은 없지만, 시스템 속도가 갑자기 느려지거나, 파일이 손상되거나, 아예 인식되지 않는 등 보다 갑작스러운 증상으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컴퓨터가 버벅거리다 멈추는 현상이 발생했을 때, 저장 장치의 불량은 매우 치명적인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위에 제시된 진단법들을 단계별로 차분히 시도하여 문제의 원인을 파악해 보시길 바랍니다.

만약 저장 장치 불량이 의심된다면, 가장 먼저 모든 중요한 데이터를 다른 저장 장치에 백업하는 것이 최우선입니다. 이후에는 해당 저장 장치를 교체하거나, 데이터 복구 전문 업체에 문의하여 도움을 받는 것을 권장합니다.


회사소개 개인정보취급방침 서비스이용약관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 상단으로

작크와콩나무
대표:이강복 등록번호:129-30-34337 개인정보관리책임자:이경영

Copyright © https://roboman.co.kr/ All rights reserved.